치매 뇌영상검사 예측 모델 개발로 치매유발물질 뇌축적 사전 예측 가능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19-03-09 15:20 | ||||||||||||||||||||||||
치매 뇌영상검사 예측 모델 개발로 치매유발물질 뇌축적 사전 예측 가능
치매 뇌영상검사 예측 모델 개발로 치매유발물질 뇌축적 사전 예측 가능 |
분류 | OR (위험도) | 아밀로이드 페트 양성지수 (점수) | |
---|---|---|---|
APOE ε4 대립유전자 유무 | 4.14 (2.30-7.46) | 62 | |
CDR-SOB (치매척도) | 1.47 (1.08-1.99) | 0-100 | |
기억장애의 양상 | 시각기억 | 기준값 | 0 |
언어기억 | 0.94 (0.31-2.86) | 3 | |
시각 및 언어기억 | 3.25 (1.43-7.39) | 54 |
※ 예를 들어, 74세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신경심리검사 결과 CDR-SOB 점수가 2.5점, 언어와 시각기억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APOE ε4 대립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면 ‘42(CDR-SOB 점수) + 62(APOE ε4 대립유전자) + 54(기억장애의 양상)’으로 계산되어 전체점수가 158점이다. 따라서 아밀로이드 PET을 검사했을 때 양성으로 나올 확률은 80% 이상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로 국내 특허 출원을 작년 8월 완료하였고, 국제학술지인 알츠하이머병 저널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에 10월 30일자로 게재되었다. (붙임2 참조)
* 국내 특허 출원(2017년 8월 30일, 출원번호: 10-2017-0110430)
(주요 연구방법 및 주요 연구결과)
서상원 교수 연구팀은 전국 5개 병원(삼성서울병원, 가천길병원, 세브란스병원, 경희대 병원, 동아대병원)의 경도인지장애 환자 52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중 삼성서울병원 237명의 데이터는 노모그램 개발을 위해, 나머지 286명의 환자 데이터는 검증을 위해 각각 분석하였다.
아밀로이드 PET 양성과 연관이 있는 다음 세 가지 변수들, 1) 임상 치매 척도 영역 합산점수(CDR-SOB), 2) APOE ε4 대립유전자 유무. 3)기억장애의 양상 (시각기억 단독손상, 언어기억 단독손상, 시각 및 언어기억 손상)에 따른 위험도를 각각 구하고 개인별 아밀로이드 PET 검사 양성 위험지수를 산출하였다.
CDR-SOB 점수가 높고, APOE ε4 대립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각기억력과 언어기억력이 같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아밀로이드 PET 검사가 양성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았다.
본 노모그램은 아밀로이드 PET 검사 양성률을 79%의 정확도* 로예측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5개 병원에서 아밀로이드 PET을 검사한 경도인지장애 환자 데이터 (총 286명)에 적용한 결과에서도 74%의 정확도를 보였다.
* 통계방법: c-statistics (70-80%: 예측력이 좋은 모델, 80% 이상: 예측력이 강한 모델)
예측모델 개발을 주도한 서상원 교수는 “환자 개개인에게 적용 가능한 아밀로이드 PET 양성률 예측모델을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아밀로이드 PET 양성률이 높게 예측되는 환자를 선별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앞으로 진료 및 연구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구축 학술연구용역 사업(치매환자코호트 기반 융합 DB 및 파일럿 플랫폼 구축)을 통해 지원되었다.
질병관리본부는 “아밀로이드 PET 검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나, 고비용으로 인해 현재 일부병원에서만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또한 아밀로이드 표적 약물의 경우, 임상시험에서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낮은 아밀로이드 양성률로 인해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이번 예측모델을 이용하면, 아밀로이드 PET 검사 양성률을 미리 예측하고 양성률이 높게 예측되는 환자를 선별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임상시험 성공률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속적인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구축 사업 (치매뇌조직은행 및 치매연구정보 통합·연계시스템(Dementia Platform-Korea, DPK (가칭) 구축)을 통한 연구자 친화적이고 개방적인 연구 인프라 구축으로, 치매 연구 활성화뿐만 아니라, 치매 진단정확성 개선 및 치매 조기진단기술의 임상적용, 실용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 아밀로이드 PET 검사 양성률 예측모델의 필요성
-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학술연구용역 사업
(과제명: 치매환자코호트 기반 융합 DB 및 파일럿 플랫폼 구축) - 논문요약
- 경도인지장애에서 아밀로이드 바이오마커 (아밀로이드 PET, 뇌척수액)
- 신경심리검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